결론
<기회를 노리고자 한다면>
10% 이상의 상승 파동을 준 경우에 대해 확률을 따져본 결과 투자주의 당일보다 풀리는 다음날에 전체의 28%로 거의 2배가량 많았다.
또한, 수익이 나는 고점권 가기전에 버텨야하는 하락의 폭이 투자주의 당일보다 풀리는날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것을 종합한 결과 투자주의 당일 -5% ~ -10% 빠졌을 때, 혹은 종가에 매수해서 당일 매도하지 말고 오버나잇해서 풀리는 다음날 매도하도록 하자. 참고로 고점 형성 시간대는 10시 이전이 전체의 55%, 10~11시는 전체의 15% 였다.
손절가는 투자주의 날 종가의 -5%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다만, 투자주의 공시가 나오는날 직전의 움직임이 [장대양봉 + 전일 종가위 큰 상승] 패턴을 보였다면 투자주의가 풀리더라도 좋은 성과를 보일 확률이 감소하는게 눈에 띄었으므로 매매를 삼가는게 나을거 같다.
<리스크를 피하고자 한다면>
투자주의날 시초가 갭상승 확률은 40%, 나머지 60%는 보합 아니면 갭하락 시작이었다.
이 마저도 장초반 고점을 지켜주는 종목이 없었으니 투자주의 종목 지정 공시를 보았는데
위험을 감수하고 오버나잇해서 넘어올 이유가 없어보인다.
만약에라도 실수로 오버나잇해서 들고 왔다면 장 극초반 매도를 원칙으로 해라. 그곳이 고점이다.
장중에 전일 종가대비 -4% ~ -10% 까지 내려갔다가 반등하는 종목이 대부분이므로 투자주의 당일 이정도 빠지기 전에는 매매 대상으로 삼으면 안된다는 것 정도는 알고있자.
투자주의 당일 일반적인 움직임1
대부분의 경우 갭상승이면 당일 캔들은 큰 확률로 음봉이다. 장초반을 고점으로 하여 다음의 하락구간을 맞기 때문이다.
장중에 전일 종가대비 -4% ~ -10% 까지 내려갔다 오는 하락구간을 거의 대부분 포함한다.
당일 종가때 전일 종가를 다 회복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아래꼬리 달린 음봉캔들 형성 확률이 상당히 높다.
따라서, 전일 종가에 매수하여 오버나잇해 넘어온 거라면 장중에 보유하고 있기 쉽지 않을 것이다.
단기스윙하다가 주식을 보유중인 상태로 투자주의를 맞았다면 당일 다음과 같은 매도방식을 추천한다.
쩜상으로 잠겨버리는게 아니라면 다음날 장초반에 전량매도 한다. 어차피 장초반이 고점일 것이기에.
투자주의인 것을 알고도 다음날로 넘어오는것 또한 추천하지 않는게
투자주의날 시초가 갭상승 확률은 40%, 나머지 60%는 보합 아니면 갭하락 시작이었다.
그닥 큰 기대를 걸고싶은 확률이 아니기도 하고 시초가부터 빠질걸 생각하면 뭔가를 기대하기 어렵다.
# 투자주의 날, 갭상승 띄운 후 장중 내내 빠지는 예시
# 투자주의 날, 장초반 급락 후 급반등 예시
# 투자주의 날, 장중 내내 횡보하는 예시
# 투자주의 날, 천천히 회복하는 예시
투자주의 당일 일반적인 움직임2 (갭하락 -10% 이상으로 시작하는 경우)
투자주의날 갭하락 -10% 이상으로 시작하는 경우 당일 내내 횡보하거나 추가로 하락하여 최소한 당일은 매매할 수 있는 구간이 없음.
투자주의 다음날 일반적인 움직임
검증결과 투자주의 당일 10% 이상의 상승 파동을 준 경우는 전체의 14%라면
투자주의 다음날 10% 이상의 상승파동을 준 경우는 전체의 28%로 거의 2배가량 많았다.
또한, 수익이 나는 고점권 가기전에 버텨야하는 하락의 폭이 투자주의 당일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고점을 형성한 시간대는 10시 이전이 전체의 55%, 10~11시는 전체의 15%를 차지했다.
투자주의 공시가 나오는날 직전의 움직임이 [장대양봉 + 전일 종가위 큰 상승] 패턴을 보였다면 투자주의가 풀리더라도 좋은 성과를 보일 확률이 감소하는게 눈에 띄었다. 이격을 벌린만큼 좁히는 시간이 더 필요한가보다.
시가를 형성하는 위치는 투자주의 다음날이 조금 더 보합에서 시작하는 느낌이 있는데 두 날의 큰 차이는 보여지지 않았다.
투자주의 당일 저가대비 종가가 너무 큰 폭으로 회복했다고 해서 갭하락이 크게 생기진 않았음.
'- 당신만 모르는 리스크 > 주식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담보제공 계약 체결, 기타법인의 매도 (0) | 2021.10.24 |
---|---|
시간외 단일가에서 크게 오른 종목의 다음날 움직임 (0) | 2021.10.18 |
추가상장 당일의 시가형성 위치 (0) | 2021.10.13 |
유상증자결정 공시가 다음날 주가에 미치는 영향2 (0) | 2021.10.12 |
투자주의/투자경고, 언제 걸리고 언제 풀리는가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