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소한 지식 공부 4

주요 식량 국가별 '교역 점유율' & '수출 점유율'

* 생산량 순위과 수출량 순위를 구분해서 알아봐야 함. 생산량은 크나 수출량이 적은 경우 내수 소비로 대부분 쓰이는 경우이기 때문. 투자를 하는 입장에서는 세계 교역량을 알아야 하므로 '수출량'이 더 중요! * 생산량 순위도 중요한게 자국의 생산량이 줄어들면 역으로 수입을 하게되는 경우가 있어 글로벌 가격을 상승시킴. (ex 중국 돼지 최대 생산 및 소비국 + 중국 돼지열병 => 돼지수입 => 글로벌 돼지가격 증가 * 팜유, 대두유, 카놀라유(유채), 해바라기유 등 주요 4대 식용유로 서로 영향을 미침 * 다른 곡물에 비해 소수 국가로 편중되어 있는 경우 주요국에 문제생길시 쩜상 + 추가상승 가능 했음 (ex 팜유 관련해서 오른 관련주) 팜유 # 세계 교역량 점유율 인도네시아 세계 팜유 수출 약 52.4..

디파이란 무엇인가

디파이란? 코인을 활용한 신개념 금융을 ‘디파이(DeFi·Decentralized finance)’라고 부른다. 말 그대로 디파이는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일컫는다. 디파이에서는 중개자가 필요 없다. 쉽게 말해 은행, 증권사, 카드사 없이도 금융이 돌아간다. 은행 없이도 이자를 받고 증권사 없이도 투자를 할 수 있으며 카드사 없이도 결제가 가능하다. 예금·대출·투자·보험 등 금융 서비스가 모두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된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기존 금융 거래 기록은 이런 금융기관이 보존하고 기록했다. 하지만 디파이에서는 블록체인에서 해당 거래를 증명해준다. 물론 중개자가 받아 가는 송금 수수료도 훨씬 저렴하다. 금융 시스템 접근에 있어 국경이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신원 확인 같은 복잡한 절차도 디..

실리콘의 구분

생소했던 실리콘의 구분 silicon => 실리콘(화학분자식의 Si 규소), 원재료가 됨 위 원재료에 화학적인 공정을 가하면 2가지 실리콘이 나오는데 무기실리콘, 유기실리콘이 된다. 무기실리콘 => 반도체 실리콘 웨이퍼, 태양광의 폴리실리콘 유기실리콘(silicone) => silicon + 'e' => 주방용품, 이거 호황으로 KCC(인수했던 모멘티브 회사가치 업)가 날라갔었다. 무기실리콘은 사용되는 곳이 소수에 불과한 반면 유기실리콘은 실생활에 적용되는 곳이 5000가지가 넘음. 유기실리콘은 주방용품부터 해서, 광택제, 건축용 실링제 등등 아주 많은 곳에서 쓰임. 최근엔 친환경 소재라고해서 전기차 같은 곳의 고무를 대체하는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음 실리콘 원자재의 글로벌 시장 구조 전 세계의 메탈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