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만 모르는 리스크/주식시장 14

1월~3월,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 15%)이상 변경 공시

요약 1~3월에는 전년도 누적 영업이익이 좋은 애들로만 보유해야 한다. 위 공시는 1~3월 집중되며, 3월 이후 사업보고서가 나오기전 전년도의 누적 영업이익을 알 수 있어서 이 공시에는 주가의 반응이 민감하다. 따라서, 이 공시의 결과에 따라 주가가 다음날 갭상승, 갭하락 할 수 있다. 갭하락 케이스, 엔씨소프트 - 아래와 같은 공시 이후 다음날 갭하락 갭상승 케이스, 우리기술투자 - 아래와 같은 공시 이후 다음날 갭상승

자본잠식률 계산하는 방법(부분자본잠식 & 완전자본잠식)

간단요약 자본잠식은 기업의 누적적자가 커져서 그동안 발생했던 이익잉여금(누적영업이익)이 바닥나고 납입했던 자본금까지 잠식되는 상황을 말하며, 자본금이 50% 이상 잠식된 기업은 관리종목으로 지정되어 2년동안 계속될 경우 상장폐지된다. 관리종목을 오버나잇하는 것은 미친짓이다. 계산방법 [자본잠식률] = [자본금-자본총계] / 자본금 * 100 * 분기 누적값을 보고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11월말에 나오는 3분기보고서를 이용해 계산하는게 좋다. * 계산 결과가 -(마이너스)로 나오면 자본잠식이 아예 없는 상태. 반대로, 계산 결과가 +(플러스)로 나온다면 부분자본잠식 상태입니다. [자본총계]가 -(마이너스) 이면 완전자본잠식 입니다. (64,680,866,000-49,320,079,306) / 64,680,..

FnGuide, 네이버증권을 동시에 이용하고, 연결과 별도 재무재표를 모두 봐야 하는 이유

재무재표 볼 때 주의할 점 예시) 유아이엘 - 시총 400억대, 증거금100%종목, 네이버증권에서 띄워주는 재무재표만 보면 문제 없어보임. - 그러나, FnGuide에서 '별도' 기준으로보니 4년연속 영업손실. - FnGuide를 보면 네이버증권은 '연결' 기준의 정보를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러나 별도 재무제표도 봐야함. 이는 키움증권 HTS도 동일했음. 따라서, FnGuide를 이용해 별도 재무제표를 봐야함. 또한, FnGuide는 최근 연도에 발표된 분기 누적 값을 보여주어 작년 동기와 비교하기가 수월함. - 유아이엘은 5개의 종속 회사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지주회사로서의 지위가 인정되지 않아 '개별' 제무재표의 영업손실이 적용된듯 하다. - 단,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세전계속사업이익)..

코스닥시장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요건

KRX에 명시된 요건 KRX에 명시된 요건(즉시 상장폐지기준) 실제 예시(22년 2월 정리된거 기준) 상세예시 # 유아이엘 * 연결 재무제표만 보면 영업손실이 4사업연도 이어지는지 확인이 안되는데, 별도 재무제표를 봐야 이를 알 수 있었음. - 아래 사항 공시전에 미리 확인하는 방법 : 최근 3개 분기의 영업이익의 상황을 보면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음. # 판타지오 * 다트의 3분기 보고서를 봐야 알 수 있는 부분. - 아래 사항 공시전에 미리 확인하는 방법 : 첫번재 요건은, 네이버 증권으로도 최근에 이런일이 발생했다 식별이 가능하지만, 올해에도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11월 중순에 나오는 3분기 보고서의 '재무제표' 파트에서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이익' 과 '자본총계' 를 비교하면 알 수 있다.(자..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리스크(경선/대선)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책 대선테마 같은 종목들은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에 매매를 끝내야 한다. (비슷한케이스 : 셀트리온의 코로나 관련 약) 그외 관련이 없는 종목들도 같이 장중에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변동성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시기가 오면 내가 보유중인 종목이 혹여나 대선 관련주인지 아닌지도 확인해줘야 한다.(MH에탄올-음폐수 => 홍준표 관련주) 상황 묘사 결선결과는 2시쯤 발표된다고 대략적으로 알려진 상황, 2시쯤 갑자기 윤석열 관련주가 하락함과 동시에 홍준표 관련주 16% 급등, 안철수 관련주 10% 급등을 보여 뉴스는 안나왔지만 정보는 빠르기에 주가만 보고 홍준표가 당선된줄 알았음 하지만,, 이는 최종결과와 맞지 않은 움직임이었고 실제 발표 방송은 생각보다 ..

호가단위 변환 가격대에서 일어나는 일관된 움직임

최소 5400원 위에서 종가를 마감하면 (5000원대비 +8%) 살짝 조정 받더라도 수일동안 5000원을 깨지 않으며 그 위로 움직여주는 것을 여러 건 확인하였다. 반대로 5000원~5400 미만의 가격에서 종가를 마감한다면 다시 5000원을 이탈할 확률이 높았다. 확률높은 매매를 위해 애매하게 5000원을 넘긴 종목은 5400원을 종가 기준으로 지켜줄거 같을 때 까지 기다리던가 잠시 관망하다가 5000원 아래서 매수하도록 하자 이는 10000원 가격대에서도 동일한 현상일 것으로 보인다. 5000원대 실제사례 종가마감 5200원 이후 이탈. 종가마감 6190원 부터 호가변환단위를 신경쓰지 않았어도 됐음. 종가마감 5490원 부터 호가변환단위를 신경쓰지 않았어도 됐음. 종가마감 5540원 부터 호가변환단위..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대주주의 장내 매도

리스크 관리를 위해 지켜야할 원칙 주식보유수량 변동이후 5영업일 이내에만 공시하면되므로 일반 투자자들은 대주주의 장내 매도를 미리 알 방법이 없다 그런데 크린앤사이언스에서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장내매도 공시가 갑작스레 나왔고 이 공시가 나온 다음날인 9일엔 그전엔 없던 시가 갭하락 -3%가 떴다. 대주주가 장내 매도 공시를 내면 호재가 아닌것이 분명하다 해당 종목을 보유중이라면 당장 매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자 사건의 순서대로 보는 공시 흐름 "주식등의 대량보유 상황보고서" 이 공시에서는 매수/매도 여부, 거래단가, 거래일, 거래자 등등을 알 수 있다 장내 매수일수도 / 장내 매도일수도 있는데 이 카테고리는 리스크를 다루고 있으므로 장내 매도의 예시를 가져왔다 아래 내용을 보면 16/06/01일에 ..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담보제공 계약 체결, 기타법인의 매도

리스크 관리를 위해 지켜야할 원칙 만년 적자 기업은 대주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주식을 담보로 채권자에게 돈을 빌린다. 대부분의 기업은 수익성이 없어 대출을 갚지 못하고 기한이익 상실로 담보권을 실행당해 담보로 맡긴 주식 대부분이 채권자에게 넘어간다 이후 대주주는 줄어든 지분률을 회복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시행한다 많을 땐 한 달 간격으로도 하기도 한다 이를 무한반복 한다 일반 주주들을 위한 배려따위 없다 그러다 결국 채권자는 이렇게 뺐어간 주식을 어느날 갑자기 장중에 전량 매도해버린다. 결국 마지막까지 남아있는 개미들은 수장당하는 것이다 이런 기업은 대부분 "증거금 100% 종목" "불성실공시 기업" "3년연속 적자기업" 들이니 재료가 아무리 좋고 차트가 아무리 좋아도 매매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자 추..

시간외 단일가에서 크게 오른 종목의 다음날 움직임

시간외 단일가에서 크게 상승한 종목 혹은 시간외 단일가에서 강한 테마가 만들어지면 다음날 장 극초반에 고점을 찍고 이후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이유는 기존 보유자들의 차익실현 욕구가 높아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재료가 뭐던간에 보유중인 종목이 위의 두 경우에 해당된다면 다음날 시초가 부근에서 매도로 대응하는게 좋을거같다. 계속 들고가고 싶은 종목이더라도 일단 매도하고 종가에 다시 줍줍하는게 좋아보인다. 시가총액이 큰 종목에서 위의 두 케이스가 나온다면 다음날은 주식선물 매도를 쳐볼 수도 있겠다. 2030년 국내 청정수소 100만t 생산체제 구축 및 글로벌 수소기업 30개 육성 등 정부의 수소선도국가 비전 발표 소식 속 시간외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SK디스커버리는 자회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