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소했던 실리콘의 구분
silicon => 실리콘(화학분자식의 Si 규소), 원재료가 됨
위 원재료에 화학적인 공정을 가하면 2가지 실리콘이 나오는데 무기실리콘, 유기실리콘이 된다.
무기실리콘 => 반도체 실리콘 웨이퍼, 태양광의 폴리실리콘
유기실리콘(silicone) => silicon + 'e' => 주방용품, 이거 호황으로 KCC(인수했던 모멘티브 회사가치 업)가 날라갔었다.
무기실리콘은 사용되는 곳이 소수에 불과한 반면
유기실리콘은 실생활에 적용되는 곳이 5000가지가 넘음.
유기실리콘은 주방용품부터 해서, 광택제, 건축용 실링제 등등 아주 많은 곳에서 쓰임.
최근엔 친환경 소재라고해서 전기차 같은 곳의 고무를 대체하는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음
실리콘 원자재의 글로벌 시장 구조
전 세계의 메탈실리콘 60% 이상이 중국에서 만들어짐
메탈실리콘을 만드는데 막대한 전기가 들기 때문
중국 신장 위구르가 전기가 싸서 메탈실리콘 대량 생산지임.
그런데, 미국이 최근 환경문제, 인원탄압문제로 중국꺼를 수입 못하게 하니까
반도체, 태양광, 유기실리콘(친환경) 쪽에서 수요는 증가하는데 공급이 제한.
그리고 중국도 환경문제를 이유로 공장 증설을 할 수 없는 상태.
유기실리콘의 시장특성
업스트림은 중국 업체가 장악을 하고 있지만
유기실리콘 시장
즉, 다운스트림(기술공정을 더 깊게 들어가서 고부가가치 제품을 만드는)은 소수의 상위 10개 기업이 장악을 하고 있음
다우케미칼 화학(다우코닝)
신에츠 화학
엘캠
KCC 모멘티브 => KCC 전체 매출의 전반정도를 담당함.
KCC가 당시 유기실리콘 호황 수혜주로 추천받았던 이유
원자재의 가격 상승을 바로 판매가격에 반영할 수 있는 기업인가 아닌가를 놓고 봤을 때
KCC가 인수한 모멘티브는 이를 바로 할 수 있는 기업이었다.
또한, 실리콘이 담당하고 있는 매출 비중은 KCC 전체 매출의 전반정도를 담당.
'- 생소한 지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식량 국가별 '교역 점유율' & '수출 점유율' (0) | 2022.05.02 |
---|---|
디파이란 무엇인가 (0) | 2022.02.21 |
곡물 & 비료 & 천연가스의 상관관계 (0) | 2021.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