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만 모르는 리스크/주식시장

자본잠식률 계산하는 방법(부분자본잠식 & 완전자본잠식)

Trader Gonie 2022. 2. 23. 04:58

간단요약

자본잠식은 기업의 누적적자가 커져서 그동안 발생했던 이익잉여금(누적영업이익)이 바닥나고 납입했던 자본금까지 잠식되는 상황을 말하며, 자본금이 50% 이상 잠식된 기업은 관리종목으로 지정되어 2년동안 계속될 경우 상장폐지된다. 관리종목을 오버나잇하는 것은 미친짓이다.

계산방법

[자본잠식률] = [자본금-자본총계] / 자본금 * 100

 

* 분기 누적값을 보고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11월말에 나오는 3분기보고서를 이용해 계산하는게 좋다.

 

* 계산 결과가 -(마이너스)로 나오면 자본잠식이 아예 없는 상태.

  반대로, 계산 결과가 +(플러스)로 나온다면 부분자본잠식 상태입니다.

  [자본총계]가 -(마이너스) 이면 완전자본잠식 입니다.

 

(64,680,866,000-49,320,079,306) / 64,680,866,000 * 100 = 23.75%

원리이해

dart 기업공시

(삼성전자 반기보고서 요약재무정보)

 

[자본총계]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

[자본금] = 액면가 * 발행주식수                                 => 시장의 기대감이 포함 안된 주식 원래의 가치

[자본잉여금] = (발행가 * 발행주식수) - 자본금     => (유상증자 추가상장으로 현금을 확보하는 원리) 주식발행초과금.

[이익잉여금] = 누적 당기순이익                                => 적자로 전환되기도 하며, 자본잠식의 원인으로 작용함.

 

 

[자본잠식률] = [자본금-자본총계] / 자본금 * 100

* 계산 결과가 -(마이너스)로 나오면 자본잠식이 아예 없는 상태.

  반대로, 계산 결과가 +(플러스)로 나온다면 부분자본잠식 상태입니다.

  [자본총계]가 -(마이너스) 이면 완전자본잠식 입니다.


자본잠식 예시)

- 이익잉여금 적자발생으로 인하여 자본총계가 자본금 보다 적어졌으므로 부분적인 자본잠식이 일어난 것이다.

  아래의 예시에서는 자본금의 1/3이 잠식된 상태로 33%의 자본금이 잠식당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부분자본잠식과 완전자본잠식이 있으며

각각에 대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부분자본잠식' 이란?

- 기업의 적자폭이 커져 잉여금이 바닥나고 자본금을 잠식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즉, 적자를 반영한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적어지기 시작한 상태를 말한다 (자본총계가 마이너스는 아님)


'완전자본잠식'

- 기업의 적자폭이 더욱 커져 잉여금이 바닥나고, 자본금을 완전히 잠식한 단계이다.

  즉, 적자를 반영한 자본총계가 마이너스가 된 상태를 말한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megatax&logNo=221252169826&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자본잠식이란? [완전자본잠식과 부분자본잠식]

안녕하세요 세무그룹 밝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이 적자가 계속되면서 기업에 투자된 원금(자본금)을 ...